소셜 아트(Social Art)의 개념 및 구도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범주화 필요성을 중심으로(2023)
프랑스 지역문화 거점공간의 문화예술 ‘접근성’에 대한 새로운 실천: ‘미크로-폴리(Micro-Folie)’ 사례를 중심으로(2023)
예술의 기술융합과 생태계(2022)
Conceptualizing Rhizomatic Thinking in the Arts: A Semantic Approach to Arts Entrepreneurship’(2019)
Fandom of Hallyu, Tribe in the Digital Network Era: Case of BTS and ARMY’(2019)
‘포용적 예술’(inclusive arts)을 통한 장애 예술의 개념적 연구(2018)
4차 산업혁명과 예술의 미래 – 예술은 기술변화에 어떻게 대응해 왔고, 대응해갈 것 인가?(2017)
실행연구 방법론을 통한 예술기업가정신 함양 연구(2017)
리빙 뮤지엄의 ‘역사 살리기’를 위한 장치와 요소(2017)
Hallyu, the Korean Wave: Cultivating a Global Fandom(2017)
예술기업가정신, 개념과 실천영역 - 예술산업 논의와 병행하여(2016)
Impact Study of Office Workers’ Cultural Participation; A case of‘ Delivery-to-Work Concert’as Part of ‘Culture Day’(2016)
젠트리피케이션 극복을 위한 지속 가능한 작업실 정책 – 몬트리올 협동조합 및 사회적 기업 사례연구(2016)
예술치유 프로그램 평가 연구 – 우리가 만드는 라디오 드라마를 대상으로(2015)
뉴미디어아트,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은 가능할까?(2014)
창작스튜디오의 역할 변화에 따른 정책 구도와 타당성(2013)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 분석과 정책적 함의(2013)
​· 서울시 창작공간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변화 연구(2013)
공감의 바이러스-예술에서의 바이럴 마케팅(2012)
프랑스 폐산업시설 활용 예술공간의 역사적 전개와 의의(2012)
폐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정책의 구도와 방향(2012)
문화예술교육, 창조적 잠재력을 깨우는 힘(2010)
한국의 박물관건립 현황분석에 따른 박물관건립계획의 필요성(2009)
문화예술경영의 경영학적 토대와 창의적 확산(2009)
예술가 해외거주프로그램(Artist-in-residence)의 확산과 진화(2008)
상훈
홍조근정훈장(2006)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당선(1998)
민지은교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주임교수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부소장, 『문화예술경영』 편집위원장
학력사항
파리 제3대학교(Sorbonne-Nouvelle) Art&Media 고등 박사교육원(Ecole doctorale) 박사, 문화매개 및 문화경영 전공, 파리 제1대학교(Panthéon-Sorbonne) 공동학위
박사학위 논문: 국제화된 경제에서의 문화교류, 한국에서의 프랑스 공연예술 수용을 중심으로(Echanges culturels dans une économie mondialisée La réception du spectacle de langue française en Corée, 1960-2012)
경력(현임)
한국문화매개연구소 대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이사
경력(역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온라인 연수, 교육 강사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대학원, 겸임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소르본 대학교 현대 아시아사 연구소 CHAC 연구원
저역서 및 논문
저서 :
『문화예술교육 자원과 협력관계』(2019) 『문화매개』(2016) 『La reception de la comedie musicale de langue francaise en Coree(한국에서의 프랑스 뮤지컬 수용)』(2013)
주요논문 :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performance of artists and STEM professionals(2024, Technology in society: 국제학술지(SSCI) 사회과학 융합분야 Q1, 상위 0.6%)
예술의 기술 융합 비즈니스 모델 연구-BMC 를 활용한< Acute Art> 비즈니스 모델 분석사례를 중심으로(2024)
예술가와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 간 협업 조직의 성과평가 지표에 관한 탐색적 연구(2023)
소셜 아트(Social Art)의 개념 및 구도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범주화 필요성을 중심으로(2023)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 기술의 역할 연구 –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중심으로(2023)
프랑스 지역문화 거점공간의 문화예술 ‘접근성’에 대한 새로운 실천: ‘미크로-폴리(Micro-Folie)’ 사례를 중심으로(2023)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와 예술가의 창의적 융합을 위한 선행요인 연구(2023)
프랑스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른 프랑스 한류 팬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2000년대 후반부터 코로나19 이후까지 프로슈머 한류 팬을 중심으로(2022)
코로나19 이후, 프랑스 내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한 프랑스인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2022)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공연산업 생태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프랑스 온라인 공연시장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사례를 중심으로(202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프랑스의 문화적 대응과 동향(2022)
문화예술기관에서의 문화매개활동 구상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2016)
문화매개자의 개념과 양성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문화매개자 양성과정을 중심으로(2016)
문화콘텐츠 소비촉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문화매개’ 개념과 ‘리좀모델’을 중심으로(2015)
프랑스에서의 한국대중문화콘텐츠 소비 형태에 따른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2015)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프랑스 문화정책을 중심으로(2015)
지역문화 융성을 위한 문화도시 구축에 관한 연구-프랑스 역사와 문화의 도시 인증사업을 중심으로(2014)
프랑스 내 한국 대중문화콘텐츠 소비의 확산을 위한 연구-커뮤니케이션 매개로서의 한류콘텐츠(2014)
2000년 이후, 프랑스 영화시장에서의 한국영화 현황-프랑스 영화계에서의 한국영화위상과 대비된 상업 시장에서의 대중성 결여(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