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전공교과목 소개

전공교과목 소개
전공
필수

문화예술경영론

전공
선택

관객개발연구, 문화예술마케팅과 홍보, 문화예술단체 운영과 재원조성, 문화기획론, 문화예술정책론, 기업문화마케팅, 문화예술저작권, 문화예술공간 건립계획, 문화예술경영 연구방법론, 문화예술교육기획, 온라인예술시장과 플랫폼, 문화자원융합경영, 예술의 기술융합과 생태계

지역문화정책, 문화도시정책, 문화예술교육정책, 국제문화교류정책, 극장경영, 박물관·미술관경영론, 공연예술기획, 공연예술국제교류, 박물관·미술관교육론

전공필수

문화예술경영론(Arts & Cultural Management)

문화예술경영론은 문화예술경영 형성의역사와 흐름을 이해하며, 문화예술경영의 학문적 근거를 학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경영의 역사적 전개와 쟁점, 예술현상의 특수성에 기반한 연구방법론 연구, 문화예술경영전문인의 자질과 리더십, 브랜드 및 특성화 전략 연구, 마케팅 및 관객개발 연구, 회계와 재원조성, 조직운영 등의 연구 단위와 함께 21세기 문화예술경영이 지향하는 통합적 방법론을 학습하게 된다.

전공선택

관객개발연구(Audience Development)

문화예술경영의 주요 연구 영역인 관객개발의 원리와 실무를 익히고, 실제 관객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도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 환경 변화에 따른 관객의 취향 및 행동 양식, 삶의 패턴 변화 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전략적 관객 개발을 모색해 가도록 한다. 비교연구로서 기업의 혁신적 고객 개발 사례와 여타 해외 관객개발사례를 통해 다양한 관객개발 방식을 학습한다.

문화예술마케팅과 홍보(Arts Marketing & PR)

문화예술단체를 비롯한 문화예술기관에서의 마케팅 전략을 다각도로 접근함으로써 단체 및 기관의 설립취지와 예술적 목표를 달성하며, 여러 활동과정과 성과를 개선하는데 필요한 전략과 기법을 익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마케팅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면서 문화예술이 추구하는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을 학습하며, 나아가 디지털 전환 시대에 걸맞는 온·오프라인 병행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익힌다.

문화예술단체 운영과 재원조성(Fundraising for Arts & Cultural Organization)

문화예술단체 운영을 위한 조직 및 세무, 회계 관리 등을 학습하며, 나아가 다양한 재원조성에 관한 채널과 방식을 익힌다. 이에 따라 공공재원을 비롯하여 기업과 개인 등의 사적재원 조사 및 조성방법의 사례를 통해 재원조성의 노하우를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재원조성을 위한 각종 지원요청서와 협찬제안서 등의 실제 작성방식과 후원회 운영, 재원조성 이벤트 아이디어, 재원조성 성공 사례 등을 통해 실질적인 전략과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문화자원융합경영(Cultural Resources Convergence Management)

4차산업혁명에 따른 문화예술경영의 변화는 온라인과 정보재 활용, 새로운 콘텐츠 개발로 집약된다. 이에 따라 이제까지 문화예술경영의 대상이었던 창작성과물을 포함하여, 문화유산과 미디어아트 등을 문화자원으로 간주하면서 기술융합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구도를 학습한다.

예술의 기술융합과 생태계(Technological Convergence of the Arts and Ecosystem)

코로나 이후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과 기술융합 현상은 예술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메타버스와 AI, NFT 등의 기술융합은 예술의 개념 확장과 유통 혁신을 주도하고, 이로써 생태계의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을 통해 새로운 예술 혁신의 양상과 새로운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문화기획론(Cultural Planning)

문화기획론은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적 효과를 기반으로 한 지역문화진흥과 지역 재생, 사회적 통합을 위한 영역이자 문화기획자 양성을 위한 수업이다. 특히 문화기획은 광의의 문화 개념을 수용하면서 문화와 삶, 사회적 관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장르적 통합과 횡단적 융합을 추구한다. 이에 따라 문화기획의 개념과 정의, 실제 기획과 관리 및 운영, 성과분석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계획 수립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문화예술정책론(Arts & Cultural Policy)

문화예술정책 전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학생들은 한국 문화예술정책의 역사와 의미, 정책 입안의 요구와 수요 측정, 문화정책 영역의 연구와 접근방법, 문화정책의 방향과 과제 등을 배우게 된다. 동시에 문화예술 현장의 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적 대응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개발을 전망하고 정책 개발에 대한 훈련을 병행할 것이다.

기업문화마케팅(Corporate Cultural Marketing)

기업문화마케팅은 사적 영역에서의 예술 후원과 재원조성, 기업의 사회적 공헌 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기업과의 예술 콜라보를 이룸과 동시에 기업이 갖게 될 다양한 혜택을 마케팅 차원에서 익히게 된다. 또한 국내외 메세나협의회 활동 비교와 메세나법 관련 정책적 측면에서의 성과와 더불어 기업과의 예술 파트너십 강화를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저작권(Copyright Law)

문화예술저작권은 소설을 비롯한 음악, 미술, 공연, 영상 등에서 창작자의 저작자 권리(저작권)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저작인접권)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문화예술산업에 매우 중요한 법·제도라 할 수 있다. 특히 포스트코로나 시대 온라인 영역이 활성화됨에 따라 저작권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해지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저작권법 관련 현장을 익히게 된다.

문화예술공간 건립계획(Cultural Space Planning)

문화예술공간 운영 활성화는 올바른 건립계획에서 주어진다. 그러나 현실은 건립을 준비하는 작업이 소홀해 지면서 건립 이후 운영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공간 건립계획 자체가 정책적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전제로, 학생들은 건립계획의 법·제도적 기반을 이해함과 동시에 건립계획 프로세스 전반을 익히게 된다. 동시에 각자 구현할 문화예술공간의 건립계획을 설계하는 프로젝트 수업으로 진행된다.

문화예술경영 연구방법론(Arts & Cultural Management Research Methodology)

문화예술경영 연구를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학습하는 과목으로, 논문 작성을 위한 것이면서 일반적인 연구방법론을 익힐 수 있다. 전반적으로 문화예술경영에서 요구되는 양적, 질적 방법론의 다양한 면모를 학습하면서 학생들은 실제 연구주제를 토대로 연구 설계를 수업을 통해 시도해 본다.

온라인예술시장과 플랫폼(Online Arts Market & Platform)

온라인예술시장과 플랫폼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온라인의 부상과 플랫폼 기업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실질적인 온라인 활용 예술시장 구조를 학습하게 된다.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장 분석 외에도 AI 기반 예술창작과 시장 변화에 대해서도 분석 능력을 익히게 된다.

지역문화정책(Regional Cultural Policy)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전개되는 지역문화진흥 정책과 사업 현장을 점검하고, 문화분권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문화정책의 지역적 맥락을 이해한다. 특히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와 지역문화자원 활용, 지역별 문화재단 역할 및 문화도시 사업을 통한 문화 거버넌스 실천의 구도 강화 등을 기반으로 지역의 문화 경쟁력 확보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국내외 정책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문화발전 모델을 개발 가능성을 살펴본다.

문화도시정책(Culture City Policy)

문화정책이 도시 개발과 발전, 도시 재생 등의 정책적 요구와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접근과 사례를 이해한다. 실제로 문화예술이 도시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전제 속에서 제기되는 문화도시, 창조도시, 문화를 통한 도시 재생에 대한 정책적 지향점을 자세히 점검한다.

국제문화교류정책(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olicy)

국제 문화교류를 위한 세계적인 기구와 단체의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로 각국의 자국 문화예술에 대한 국제교류 전략을 이해한다. 이에 따라 국제문화교류진흥법 제정 이후 전개되는 한국의 국제문화예술교류 정책의 현재와 문제점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국제교류 정책의 방향을 설정해 본다.

극장경영(Theatre Management)

극장경영은 극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공연장(콘서트홀, 오페라하우스, 아트센터, 대안공간 등)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무 프로세스와 전문인력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한다. 이에 따라 극장경영의 영역인 작품의 제작과 기획, 관객 개발의 접근, 조직 운영의 합리적 방안, 리더십, 재원 조성, 마케팅 및 홍보, 시설 평가 등의 내용을 살펴봄에 따라 극장경영의 실제적 이해를 돕는다.

박물관·미술관 경영(Museum Management)

박물관·미술관 경영은 박물관 활동에 경영의 기본 개념인 계획, 조직화, 지휘, 통제의 과정을 적용하며, 박물관 경영에 관한 다각적인 안목을 갖게 해 주는데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또한 실제적인 국내외 박물관경영의 사례연구를 통해 시대적 변화를 고려한 다양한 전략을 통해 관람객 중심 프로그램 기획 및 관람객 개발, 시장조사, 마케팅 기획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과 21세기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경영방식을 도출한다.

공연예술기획(Performing Arts Planning)

공연예술작품의 기획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공연예술작품의 질적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관객 개발과 공연장 경영을 활성화하는 방법론을 익힌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의 기획에 대한 단계별 이해와 총체적 운영을 학습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연예술기획 및 제작 방식을 익히면서 과정별 실무를 습득한다. 아울러 성공적인 국내외 공연 및 축제를 살펴보고, 공연예술의 국제적 도약과 교류를 도모한다.

공연예술국제교류(International Exchange for Performing Arts)

공연예술의 국제교류 현황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실질적인 국제교류를 위한 기획과 사업 실행, 재원조성, 홍보 및 마케팅 등의 기술을 습득한다. 특별히 국내외 국제교류 프로그램과 아트 마켓, 페스티벌의 다양한 양상을 파악하고, 국제교류를 지원하는 국제교류 기구와 정책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교류에 필요한 다양한 행정 업무 및 실무를 익히게 된다.

박물관·미술관교육론(Museum Education)

박물관·미술관 교육의 의미와 역사를 이해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별 목표와 프로그램 기획 및 관리, 운영 전반을 학습하게 된다. 동시에 해외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면서 현재 우리나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쟁점을 도출하며, 이를 전제로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를 접근함에 따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개선과 학교와의 연계가능성 등을 모색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