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셜아트플래너 양성

소개

  • 소셜 아트(Social Art)는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 개입하여 예술 실천을 주도하는 것으로 기존의 모더니즘에 기반한 예술 활동을 확장하는 것이다. 즉, 장르 중심 예술창작이 갖는 절대 창작 개념이나 장르 전용공간(콘서트홀, 오페라하우스, 극장, 미술관 등)을 중심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방식과 달리,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대중 참여를 주도하는 방식의 예술 활동을 말한다.
  • 소셜 아트는 방법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나 퍼블릭 아트, 커뮤니티 아트, 아트 테라피 등과 같은 접근방식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는 실천적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셜 아트는 새로운 예술 정체성이자, 보다 예술을 다양한 사회구조와 계층과 만남을 확대하는 적극적 문화 매개 활동을 포함한다.
  • 소셜 아트 플래너 양성은 이러한 소셜 아트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기획 및 예술 프로젝트 개발하는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으로서, 해당 관련 기관이나 단체의 요청을 통해 실제 교육프로그램 및 리서치 활동, 문화기획 역량 강화를 실행한다.
현재 진행 중 사업 : <문화:소셜플래너>

제주문화예술재단과 2021년부터 MOU를 맺어 소셜 아트를 기반으로 제주 지역문화기획자 양성 프로그램 <문화:소셜플래너> 사업을 5년째 진행하고 있다.

관련 논문
  • 박신의, 민지은(2023), 소셜 아트(Social Art)의 개념 및 구도를 위한 탐색적 연구: 범주화 필요성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경영학연구』, 16(2), 145-169.
  • 박신의, 공예지(2025), 무용 예술 강사의 예술 정체성 수용 연구 - 소셜 아트를 통한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6(3), 141-163.
  • 류미정(2024), 지역 단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소셜 아트(Social Art) 실행연구, 『문화예술경영』, 제7호, 33-60.
문의 : 조가휘 연구원 02-961-9211